|
 |
 |
리뷰 0 |
별점 |
|
|
무늬 수크령
|
|
학명:Pennisetum alopecuroides(L.)Sprengel |
|
|
|
|
 |
 |
리뷰 0 |
별점 |
|
|
조릿대
|
|
과명 : 벼과
학명 : Sasa borealis (Hack.) Makino
특징 : 여려해살이 상록활엽수로 바위틈이나 경계수 큰나무 밑 군식 을 하며 한겨울 에도 낙엽이 되지 않고 빽빽하게 무리 지어 자라는 특성 때문에 공원이나 정원의 지피식생으로 조성하면 여름에는 시원한 느낌을 주고 겨울에는 상록의 푸르름을 관상할 수 있어 조경용으로 인기가 높다 .조릿대 잎이나 열매는 약용, 식용으로 쓰기도 하며줄기와 잎은 공예용으로 쓰이기도 한다.
택배포장시 1박스에 1개 가능하므로 수량증가시 택배비는 추가부과되는점
양해부탁드립니다.
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사사
|
청사사 |
1,5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흰줄무늬사사 |
2,0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노란줄무늬사사 |
2,0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사초과
학명 : Carex okamotoi Ohwi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담쟁이
|
|
과명 : 포도과
학명 : Parthenocissus tricuspidata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옥잠화
|
|
과명 : 백합과
학명 : Hosta plantaginea
특징 : 옥비녀꽃, 백학석이라고도 불리는 여러해살이풀. 높이는 30cm 정도이며,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고 넓은 심장 모양이다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수호초
|
|
과명 : 회양목과
확명 : Pachysandra terminalis Siebold & Zucc
특징 : 여러해살이풀. 줄기가 옆으로 뻗다가 곧게 서며, 잎은 어긋나고 층으로 모여 난다. 낮은 지대의 나무 그늘에 자람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가우라(바늘꽃)
|
포트(10cm)-분홍 |
1,5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포트(10cm)-흰색 |
1,5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포트-분홍 |
800원 |
최소주문량 5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바늘꽃과
학명 : Epilobium pyrricholophum Franch. & Sav.
특징 : 여러해살이 풀. 화기가 길며 시중에서는 바늘꽃(도입종)이라 불리고 있음.정원, 관상용으로 많이 식재하고 있다. 늦은 봄부터 늦가을까지 긴 이삭을 따라 피고 지면서 시든꽃들은 차례로 떨어져 나가 줄기를 유지한다.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오엽담쟁이
|
포트 |
1,500원 |
최소주문량 1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포도과
학명 : Parthenocissus tricuspidata
특징 : 낙엽덩쿨식물. 개화기는 6~7월이며 덩쿨손은 잎과 마주나며 끝에 둥근 흡반이 있음. 5장의 달걀모양의 작은잎으로 구성되어 오엽담쟁이(미국담쟁이)라 함.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표면에는 털이 없으며, 뒷면의 맥위에는 약간의 털이 있음. |
|
|
|
|
 |
 |
리뷰 0 |
별점 |
|
|
꽃잔디
|
|
과명 : 꽃고비과
학명 : Phlox subulata L.
특징 : 해마다 잎과 줄기는 죽더라도 뿌리가 말라 죽지 않고 겨울을 보낸 후 이른 봄3월에 새싹이 나와 성장하며 꽃 피고 열매 맺는 과정을 되풀이하는 꽃을 말한다.
식재수량 : 1hb- 50포트(개)/한평- 150개 내외
#1BOX에 50개 포장. 수량에 따라 택배비가 추가 부담됨을 양해부탁드립니다.# |
|
|
|
|
 |
 |
리뷰 0 |
별점 |
|
|
사계패랭이
|
포트묘 |
5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석죽과
학명 : thus chinensis L.
특징 : 석죽화 혹은 대한이라고도 하는 여러해살이풀.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모래땅 등에서 잘 자라며 높이는 30cm 정도이며, 잎은 마주나고 선 모양이다.꽃을 뒤집어 보면 옛날 천민들이 주로 썼던 패랭이를 닮았다 하여 패랭이꽃이라 부름.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애란(왜란)
|
|
과명 : 백합과
학명 : Ophiopogon japonicus
특징 : 여러해살이풀. 꽃줄기는 높이가 10cm 정도이며, 뿌리줄기는 옆으로 뻗으면서 자란다.잎이 좁다고해서 소엽맥문동이라고도 불리며 주로 나무밑에서 자라고 중남부지방에 분포. 5~6월에 5~10개이 연한 자주색또는 백색의 꽃이핀다. 열매는 짙은 하늘색으로 둥글고 크기는 2~4mm정도이며 가장자리의 잔톱니는 뚜렷하며 많다. 뿌리는 약으로도 쓰고 마른뿌리를 다려 차로 마시기도 하며 주로 관상용으로 심는다.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돌단풍
|
5-6분얼특대 |
6,000원 |
최소주문량 1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포트묘(10주) |
10,000원 |
최소주문량 1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범의귀과
학명 : Aceriphyllum rossii
특징 : 여러해살이풀. 줄기의 높이는 30cm 정도이고 잎은 뿌리에서 모여나며 잎자루가 길며 5~7갈래로 갈라져 단풍잎과 비슷함. |
|
|
|
|
 |
 |
리뷰 0 |
별점 |
|
|
사계패랭이
|
포트묘 |
5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석죽과
학명 : thus chinensis L.
특징 : 석죽화 혹은 대한이라고도 하는 여러해살이풀. 낮은 지대의 건조한 곳이나 모래땅 등에서 잘 자라며 높이는 30cm 정도이며, 잎은 마주나고 선 모양이다.꽃을 뒤집어 보면 옛날 천민들이 주로 썼던 패랭이를 닮았다 하여 패랭이꽃이라 부름.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비비추
|
포트묘 |
1,0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백합과
학명 : Hosta longipes (Franch. & Sav.) Matsum.
특징 여러해살이풀. 줄기는 높이가 40cm 정도이며, 뿌리줄기는 짧고 꽃줄기는 곧게 선다. 반그늘 또는 직사광선에서 잘 자라며, 노지에서 월동하고, 16-30℃에서 잘 자라며 환경내성은 강하며, 이식이 용이함. |
|
|
|
|
 |
 |
리뷰 0 |
별점 |
|
|
서양인동
|
|
과명 : 인동과
학명 : Lonicera sempervirens L.
특징 : 반상록확엽의 덩굴성 수목으로 꽃은 5-6월에 잎겨드랑이에서 붉은색으로 핀다. 한방에서는 잎과 줄기를 인동이라 하여 이뇨제나 해독제로 사용. 추위에 강하고 건조한 곳에서도 잘 자라므로, 척박한 토양의 녹화를 목적으로 많이 심는다. 번식은 뿌리나누기나 꺾꽂이로 한다. 한국 전역에 분포함. |
|
|
|
|
 |
 |
리뷰 0 |
별점 |
|
|
맥문동
|
|
과명 : 백합과
학명 : Liriope platyphylla
특징 : 상록여러해살이풀 로써 땅콩처럼 생긴 뿌리를 이른봄이나 가을에 굴취하여 약재로 사용하는데, 목 (호흡기,순환계)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생활에 효험이 있다. 산의 나무그늘에서 잘 자라며 크기는 30~50cm정도 자란다. 뿌리는 짧고 굵다. 5~6월에 엷은 자주색으로 핀다. 열매는 10월~11월에 검푸르게 윤이나는 둥근 장과가 달리며 뿌리나누기와 씨앗으로 번식.
식재수량 : 1㎡에 50본 정도 식재를 권장한다.(1평 150본) |
|
|
|
|
 |
이미지준비중 |
리뷰 0 |
별점 |
|
|
범부채
|
포트묘 |
1,500원 |
최소주문량 2주 |
- |
품절 |
택배 |
- |
|
과명 : 붓꽃과
학명 : canda chinensis (L.) DC.
특징 : 속하는 다년생초.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으며, 줄기는 위로 곧추서서 키가 1m까지 자란다. 잎은 피침형(披針形)으로 어긋나고, 줄기 양쪽으로 편평하게 2줄로 달린다. 7~8월에 황적색의 꽃이 줄기 끝에 몇 송이씩 모여 피고 6장의 꽃덮이조각[花被片]으로 되어 있으며, 열매는 삭과(蒴果)로 익는다 |
|
|
|
|